728x90
반응형
故書曰甲木若無根이요 全賴申子辰에
于得財殺透하면 平步上靑雲이라하니라.
(고사왈갑목약무근 / 전뢰신자진 / 간득재살투/ 평보상청운/)
[ 고서에서 말하길 갑목이 만약 뿌리가 없고 신자진에 전적으로 의지함에
천간에 재성과 칠살의 투출함을 얻으면 평범한 걸음으로 청운에 오를 것이라 하니라. ]
** 청운이란 높은 벼슬을 가리키는 말
凡三春甲木이 用庚者는 土爲妻요 金爲子며
用丁者는 木爲妻요 火爲子라.
(범삼춘갑목 / 용경자 / 토위처 / 금위자 / 용정자 / 목위처 / 화위자 )
[무릇 삼춘갑목이 경금을 쓰는 경우에는 토는 처가 되고 금은 자식이 되며 정화를 쓰는 경우에는
목은 처가 되고 화는 자식이 된다. ]
** 부연설명 : 경금을 쓴다는 이야기는 갑목일간에 경금을 용신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 경우에는 용신인 경금을 생하는 토는 처가 되고 (갑목의 재성이 토이므로 재성은 처가 된다. )
금은 자식이 된다. (금은 갑목의 관살이 되므로 자식이 된다. )
정화를 쓰는 경우에는 용신을 생조하는 목이 처가 되는 것이고 아내의 생조를 받으니
당연히 화는 자식이 되는 것이다.
--- 궁통보감에서는 용신을 중심으로 처와 자식을 나누는 독특한 점이 눈에 띈다.
용신을 생조하는 오행은 처요, 처의 생조를 받는 오행은 자식이 된다.
總之正二月甲木은 有庚戌者上命이니
如有丁透면 大富大貴之命也니라.
(총지정이월갑목 / 유경술자상명 / 여유정투 / 대부대귀지명야)
[총괄하여 보면 정2월 갑목은 경금과 술토가 있는 사람이 상급 명이니
만일 정화의 투간이 있으면 대부대귀의 명이다.
728x90
반응형
'동양철학(사주) > 궁통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월갑목 - (평안, 자식복, 장수의 조건) (0) | 2022.07.20 |
---|---|
2월갑목 - 칼을 내려놔야 잘 풀리는 사람 (0) | 2022.07.20 |
2월 갑목(지지 화국, 수국, 목국일 경우 해석) (0) | 2022.07.19 |
2월 갑목(목화통명지상, 겉으로 웃으며 속으로 칼을 품는 사람) (0) | 2022.07.19 |
2월 갑목(평생 고생만 하고 처자복없는 사주) (1) | 2022.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