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三月甲木은 木氣相竭하니
(삼월갑목 목기상갈)
삼월의 갑목은 목의 기운이 서로 다하니
先取庚金하고 次用壬水하며
(선취경금 차용임수)
먼저 경금을 취하고 다음에 임수를 사용한다.
庚壬兩透면 一榜堪圖니
(경임양투 일방감도)
경금과 임수 둘 모두 투출하였으면 과거에 합격할 뿐 아니라 그 들 뛰어난 무리 가운데에서도 두각을 나타낸다.
(해설)
- 一榜 : 조선시대 성균관 유생들 중 뽑힌 하색장(직분)의 후보를 적은 명단으로 유생들 가운데에서도 뛰어나다는 뜻을 나타냄.
- 堪圖 : 자신이 맡은 직분을 견디어 수행해내다.
但要運用相生하고
(단요운용상생)
다만 운과 용신이 서로 상생해야 함이 필요하고
風水陰德이라야 方許富貴라.
(풍수음덕 방허부귀)
풍수와 조상으로부터 전해지는 음덕이라야
모름지기 부귀를 허락한다.
或見一二庚金엔 獨取壬水니
(혹견일이경금 독취임수)
혹시 한 개나 두 개의 경금일 땐 임수를 오직 취해야하니
壬透淸秀之人이며 才學必富라.
(임투청수지인 재학필부)
임수가 투출하면 맑고 뛰어난 사람이며 재주와 학식이 반드시 풍부하다.
728x90
반응형
'동양철학(사주) > 궁통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월갑목 - 정화의 유무에 따른 해석(feat. 중이 될 팔자) (0) | 2022.07.20 |
---|---|
3월 갑목-(퐁퐁남과 크산티페) (0) | 2022.07.20 |
2월갑목 - (평안, 자식복, 장수의 조건) (0) | 2022.07.20 |
2월갑목 - 칼을 내려놔야 잘 풀리는 사람 (0) | 2022.07.20 |
2월 갑목(대부대귀의 조건) (0) | 2022.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