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비브리오 패혈증은 주로 어패류를 날로 먹었을 때 또는 상처 난 피부가 오염된 바닷물에 노출되었을 때 병균이 옮겨와 감염될 수 있습니다. 만성 간질환이나 당뇨병이 있을 때 더 위험합니다. 2020년도에는 70여 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그중 25명이 사망할 정도로 치명률이 높은 질병입니다.
원인
비브리오 패혈증을 일으키는 비브리오 불니피쿠스는 바다에 살고 있는 세균으로 소금의 농도가 1~3퍼센트인 곳에서 잘 번식합니다. 바닷물의 온도가 18~20도 이상으로 상승할 때 증식하기 때문에 비브리오 패혈증은 대부분 여름철에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합니다.
만성 간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 면역기능이 떨어진 사람들이 오염된 굴과 같은 어패류를 익히지 않고 날 것으로 먹었을 때 감염됩니다. 드물게 상처가 바닷물에 오염되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증상
비브리오균은 연조직 감염이나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연조직 감염은 해안에서 조개껍질이나 생선 지느러미에 긁혀서 생긴 상처를 통해 바닷물에 있던 균이 침입하여 발생하며 부종, 홍반, 물집, 조직 괴사등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균에 오염된 해산물을 익히지 않고 먹었을 때 16~24시간의 잠복기 후에 갑작스러운 발열, 오한, 전신 쇠약감, 구토, 설사 등이 나타나기도 하고 하지 부종, 발적, 피부에 검보랏빛 얼룩점이 생기는 피하출혈, 멍, 수포, 궤양, 괴사 등이 나타납니다.
예방법
어패류는 85도 이상의 열로 가열하여 충분히 조리한 후 섭취해야 하며 특히 간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여름에 익히지 않은 해산물을 먹지 않아야 합니다. 생선을 취급하였던 도마나 칼등은 깨끗이 세척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염되는 질병이 아니므로 비브리오 패혈증 환자 발생 시에 격리, 환경 소독, 검역 등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비브리오패혈증 예측 시스템(식품의약품 안전처)
http://vibrio.foodsafetykorea.go.kr/main
비브리오패혈증균 예측시스템-메인페이지
비브리오패혈증균 감염을 사전에 방지하고 안전한 해양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비브리오패혈증균 예측시스템을 제공합니다.
vibrio.foodsafetykorea.go.kr
식약처 비브리오 패혈증 공식 안내문
728x90
반응형
'생활 속 사는 이야기들 > 도움되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풍 힌남노 현 위치와 우리나라 최남단까지 현재 거리 (2) | 2022.09.03 |
---|---|
태풍 11호 힌남노 예상 진로 (1) | 2022.09.03 |
[유용한 팁] 내 컴퓨터 화면 녹화하는 방법 (0) | 2022.09.01 |
[지원금] 청년월세 특별지원 월 최대 20만원까지 (0) | 2022.08.17 |
당뇨병을 가진 사람에게 최고의 12가지 간식 (0) | 2022.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