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속 사는 이야기들/도움되는 이야기

2023 QS 아시아 국내 대학 순위

by 큐리오스제이 2023. 2. 10.
728x90
반응형

760개의 아시아 대학이 포함된 2023년 순위는 현재까지 가장 큰 순위입니다.
올해는 북경대가 1위, 지난해 1위는 싱가포르국립대가 2위를 차지했다.
나머지 상위 10개 기관은 말레이시아, 중국 본토 및 한국을 포함하여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전역의 다양한 기관에 의해 완성되었습니다.
올해 순위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지표에는 학업 및 고용주 평판, 박사 학위 보유 직원 수, 유학생 비율이 포함됩니다. 

1위 카이스트

1위 카이스트

과학기술 인재 양성, 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기초연구, 융복합연구, 산학연 협업을 수행하는 대한민국의 고등교육기관. 대외 공식 명칭으로 영어 약자인 'KAIST'를 사용하며, 불가피하게 한글로 표기할 시에도 '카이스트'로 표기한다.
본원과 문지캠퍼스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서울캠퍼스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도곡캠퍼스[4]는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있다. 부설 기관으로는 서울캠퍼스에 고등과학원(KIAS), 본원에 나노종합기술원(NNFC),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에 한국과학영재학교(KSA)가 있다.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291


전화 : 042-350-2114

2위 연세대학교

2위 연세대학교

연세대학교(延世大學校, YONSEI UNIVERSITY)는 학교법인 연세대학교 산하의 4년제 사립 종합대학이다.
개신교 산하 미션스쿨로, '너희가 내 말에 거하면 참 내 제자가 되고 진리를 알지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는 교훈을 바탕으로 진리와 자유의 정신을 체득한 지도자를 양성한다는 건학 정신을 가지고 있다.
1977년 12월 28일에 문교부로부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원주분교의 설립을 인가 받았다. 

연세대학교는 1885년 설립된 광혜원(제중원)과 1915년 설립된 조선기독교대학(경신학교 대학부)에 연원을 두고 있다. 조선기독교대학을 모체로 하는 연희전문학교는 1946년에 연희대학교로 승격, 광혜원을 모체로 하는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는 1947년에 세브란스의과대학으로 승격하였고, 1957년 연희대학교와 세브란스의과대학이 통합하여 연세대학교가 되었다. 성균관대학교, 가톨릭대학교 다음으로 대한민국에서 3번째로 가장 오래된 고등교육기관이다.

3위 고려대학교

3위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는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동, 정릉동에 위치한 본교와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 분교로 구성된 사립 종합대학이다. 1905년 충숙공 이용익이 고종의 지원을 받아 설립한 근대적 사립 고등교육기관인 보성전문학교에 연원을 두고 있다. 1932년 인촌 김성수가 학교를 인수했고 해방 후 1946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하며 고려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
약칭은 고대(高大)이며, 영문명 Korea University의 약칭은 KU이고, FM 구호는 민족고대이다.

4위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해방 후 1946년, 국립서울대학교설립에관한법령(미 군정법령 제102호)에 의하여 기존의 경성대학(경성제국대학)과 경성경제전문학교, 경성치과전문학교(사립), 경성법학전문학교, 경성의학전문학교, 경성광산전문학교, 경성사범학교, 경성공업전문학교, 경성여자사범학교, 수원농림전문학교를 폐지하고 국립서울대학교로 흡수 및 통합한 것이 시초다. 이외에 사립이었던 서울약학대학을 흡수하는 등 여러 단과대학의 증설 및 통폐합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각 단과 대학들이 기존의 교사에서 각자 운영되다가 1975년에 관악캠퍼스가 설립되면서 종로구 대학로 인근 연건동의 의과대학(당시 간호학과 포함)과 수원의 농과대학을 제외한 모든 단과대학들이 관악캠퍼스로 모였다.
공과대학이 사용하던 노원구 공릉동의 드넓은 부지와 건물들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와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원자력병원, 한국전력공사 연수원 등으로 이전되었으며, 동숭동캠퍼스 문리과대학 등의 부지는 서울사대부초, 서울사대부여중을 남기고 분할하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와 마로니에공원 등의 부지로 바뀌었으며, 상과대학이 사용하던 성북구 종암동 부지의 서울상대 본관 및 도서관, 강당 건물 등은 서울사대부중과 서울사대부고로 사용되었다. 2003년 농과대학(현 농업생명과학대학)이 관악캠퍼스로 이전했다.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11년에 법인화하여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라는 법인을 설립하였다. 즉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가 운영하는 교육기관이다.

5위 한양대학교

5위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는 학교법인 한양학원 산하의 4년제 종합 사립대학으로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본교인 서울캠퍼스가,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에 분교인 ERICA캠퍼스가 소재하고 있다. 1939년 7월 1일 일제치하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민립(사립)공대로 출발하여, 광복 후 조국의 산업화와 근대화의 중추적 인재를 배출하였다.
교수(校獸)는 사자, 교화(敎花)는 개나리, 교조(敎鳥)는 비둘기, 상징 색은 한양 블루이다. 모체는 1939년 김연준이 설립한 동아공과학원이다. 1945년 광복이후 교명을 건국기술학교로 바꾸었으며, 1947년 재단법인 한양학원을 설립하여 한양야간공업대학으로 개편하였다가 1948년 한양공과대학으로 바꿨다. 1959년 종합대학으로 개편하면서 현재의 교명으로 개칭하였다. 이후 1979년 경기도 안산시에 분교 설립을 인가받아, 2개의 학교를 운영 중이다. 로스쿨, 약학대학, 의과대학이 존재하며, 부속병원으로는 한양대학교병원을 두고 있다.

한양대 건물
한양대 위치
한양대 학사통계

6위 포항공과대(포스텍)

 

6위 포항공대

대한민국의 4년제 사립대학 중 하나로,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중심 대학을 표방하며, 과학기술 연구와 교육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소재지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청암로 77 (효자동)이다.
자주 쓰이는 약칭으로는 포공, 포항공대가 있다. 영문명은 POSTECH(포스텍,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인데, 학교에서는 대외적으로 이 명칭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1986년에 개교하였다. 당시 포항제철의 지원을 받아 설립되었다.

7위 경희대학교

7위 경희대학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와 경기도 용인시,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경희학원 산하 사립 종합대학교. 신흥무관학교의 후신이며, 경희라는 교명은 경희궁에서 따온 것이다.
서울캠퍼스와 경기도 용인의 국제캠퍼스, 경기도 남양주의 광릉캠퍼스는 이원화 캠퍼스이며, 서울캠퍼스는 인문·사회, 의약학, 기초과학, 순수예술 등의 순수학문으로, 국제캠퍼스는 공학·응용과학, 국제화, 현대예술·체육 등의 응용학문 위주로 특성화되어 있다. 광릉캠퍼스에는 평화복지대학원이 있다.
2011년 후마니타스 칼리지(Humanitas College)를 출범시키면서 특히 인문학에 관심을 기울이는 대학교이다. 사회과학, 국제학, 자연과학, 의약학 분야에서 전통적으로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고, 시대 흐름에 맞춰 상경계에 적극 투자하여 회계사 시험 등 경영학 분과 시험에서 많은 합격생들을 배출하고 있다. 상경계열인 회계세무, 경제, 경영, 무역 등 학과는 인문사회계 입시에서 수능성적이 늘 최상위권을 기록하며 각 학과는 매번 상경계열 인기에 힘입은 눈치싸움 영향으로 입학성적 순위가 엎치락뒷치락할 정도다.
2020년 들어서는 국제캠퍼스에 있는 이공계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있고,[6] 양 캠퍼스에서 전부 복수전공과 창업을 장려하고 있다. 국제적 평판도 좋은 편이라 대학원을 영미권 명문대로 가고싶어하는 학생들이 선호하는 학교이기도 하다.
서울 및 경기 4년제 대학교 중 유일하게 의과대학, 치과대학, 한의과대학, 약학대학, 로스쿨을 전부 보유하고 있는 대학교이며, 국내에서 가장 다양한 전공을 개설한 대학교이기도 하다.[7] 그밖에도 국제연합(UN)의 지원으로 시작된 호텔관광대학을 보유하고 있다.

8위 이화여자대학교

8위 이화여자대학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현동에 있는 사립 종합 여자대학교이다. 한국 최초의 여학교이자 한국 최초의 종합대학이다. 그 전신은 이화학당으로, 성균관대, 가톨릭대, 연세대, 배재대에 이어 대한민국에서 5번째로 오래된 고등교육기관이다. FM은 해방이화다.

9위 중앙대학교

9위 중앙대학교

서울특별시 동작구와 경기도 안성시에 위치한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산하 사립 종합대학교.
1916년 중앙교회 부설 중앙유치원으로 설립되었고, 1922년 중앙유치원 내에 중앙유치사범과가 설치되며 전문교육기관으로서의 역사를 시작하였다. 이후 1928년 중앙보육학교 출범후 1935년 승당 임영신 박사에 의해 중앙보육학교가 인수되었고, 1937년 흑석동에 기틀을 잡으며 현재의 서울캠퍼스가 조성되었다. 이어 1946년 중앙여자전문학교, 1947년 중앙여자대학, 1948년 중앙대학을 거쳐 1953년 종합대학 중앙대학교가 출범하였다. 또한, 1972년 서라벌예술대학, 2011년 적십자간호대학과의 통합을 통해 대학의 규모를 키워 왔다. 1980년 안성시에 안성캠퍼스가 설립되었고, 2011년에 본·분교 통합을 통해 현재의 이원화 캠퍼스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한국 제약업계 CEO의 70% 이상의 동문을 배출해오며 높은 평가를 받는 약학대학을 비롯해 전통적으로 신문방송과 광고홍보등 미디어 계열학과와 연극영화과,사진학과등 예술 전반 분과에서 강세를 보여왔다. 또한 국내 최초로 개설된 경영학과를 필두로 두산 재단이 들어선뒤 경영 경제 계열의 지원에 힘입어 공인회계사(CPA) 시험에서 백 명이상의 합격생을 배출하며 2년 연속 대학별 합격자수 3위를 차지하는 초강세를 보이고 있다.
국문 약칭은 중대, 영문 약칭은 CAU, 구호는 의혈중앙이다. 2008년부터 학교법인의 운영에 두산그룹이 참여하고 있다.

10위 울산과학기술원(유니스트)

10위 울산과학기술원(유니스트)

첨단융합 학문분야의 창의적 리더 양성과 기초과학 및 원천기술의 개발연구 정책의 수행을 위해 설립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고등교육기관.
영어 약칭은 UNIST(Ulsan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울산과학기술원)으로, 유니스트라고 읽는다. 과기원 전환 전의 한국어 명칭인 울산과기대, (울산 지역의 유일한) 국립대 등으로 주로 불렸으며 학교에서는 UNIST란 이름을 밀고 있어 다소 혼재가 있었다. 다만 2015년 과기원 전환 이후에는 이러한 명칭에 교통정리가 가해지면서 버스 등지에는 모두 '과학기술원'으로 통일되었고, 논문, 학술지나 학교 홍보자료 등에는 모두 'UNIST'로 통일된 듯 하다.

현재 본캠퍼스의 위치는 범서읍과 언양읍의 경계인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유니스트길 50 (반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경부고속도로 서울산IC에서 반구대로-울밀로로 빠져 가다보면 좌측에 입구가 나온다. 참고로 학교 입구를 나서면 바로 범서읍인지라 신축되는 학교 건물(교직원 기숙사, 공학관, 신소재연구관 등…)은 평지인 범서읍 쪽이 아닌 산 쪽의 언양읍 쪽으로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2018년 현재 유니스트의 캠퍼스는 언양의 본캠퍼스 외에도 울산 남구의 울산산학융합원에 경영공학과 학생들이 이용할 제2캠퍼스가 들어서 있다. 울산대학교 제2캠퍼스도 산학융합지구 내에 있고, 유니스트 건물 바로 옆이다.
UNIST의 남녀비율은 2020년 재학생 기준 2.98 : 1  (2020년 재학생 2,076명 기준 남자 1,554명(74.9%), 여자 522명(25.1%))이며 이공계 특성화대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여학생 비율이 꽤 높은 편이다
장학제도가 잘 마련되어 있어 재학생들 입장에서 학비 부담을 상당부분 덜어낼 수 있다고 한다. 학과를 정하지 않고 입학한 후 성적에 무관하게 전공을 정하고 맞지 않으면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여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은 편이다.

 

 

그외 11위부터 20위까지 순위틑 아래와 같다. 

11위 세종대학교
12위 서강대학교
13위 경북국립대학교
14위 광주과학기술원(GIST)
15위 DGIST
16위 부산국립대학교
17위 동국대학교와 전북국립대학교
19위 한국외국어대학교
20위 건국대학교

그 외 21위 인하대학교, 22위 아주대학교, 23위 전남국립대학교입니다.  

728x90
반응형